전편의 건물 손해액 청구와 같이 가재도구 또한 보험금으로 청구하는 손해에 대하여 객관적인 자료로 손해의 정도 및 수리가능 여부, 매입증빙 등의 입증을 하시면 부당한 감액은 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체 화재보험에서 건물의 보험 가입금액은 적정한 금액으로 가입하여 대개 전부보험인 반면, 가재도구의 보험 가입금액은 반대로 보험 가입금액이 적어 대부분 일부보험으로 비례보상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아파트 화재사고로 가재도구의 손해액을 청구할 때는 가입금액이 얼마인지, 우리 집의 적정 가재도구 가액은 얼마인지도 중요한 사안 중 하나입니다.
가재도구 보험금 지급계산식
아파트 화재보험의 경우 대부분 실손 비례보상 방식의 보험금 지급계산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무슨 이야기냐면, 보험증권에 기재된 목적물의 보험 가입금액이 보험가액의 80% 해당액과 같거나 클 때는 적정보험으로 지급 한도액(보험가입금액 또는 보험가액 중 작은 금액)내로 손해액 전액을 보상하고, 보험 가입금액이 보험가액의 80% 해당액보다 작을 때는 보험가입금액과 보험가액의 80% 해당액의 비율만큼만 보상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다시 말해 보험 가앱금액이 보험가액의 80% 해당액보다 작을 때의 지급 보험금은 “손해액 × (보험가입금액 ÷ 보험가액의 80% 해당액)”의 계산에 따른다는 것입니다.
즉, 가재도구 일부에 손해가 발생했는데, 가입금액은 적고, 실제 보험가액은 클 경우 실제 발생한 손해액 중 일부만 지급되게 되므로 주의 깊게 검토해야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죠.
가재도구 보험가액 간이평가
가재도구 보험가액 간이평가기준이란 상당한 수량의 가재도구의 가액을 일일이 조사하여 평가하지 않고, 보험가액의 결정에 영향이 큰 항목들을 조사하여 약식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가재도구 보험가액의 50% 미만 손해액의 사고처리 적용됩니다. 이때 기준이 되는 내용은 가족 구성원 수, 월평균소득입니다.
산출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험가액 = (월평균소득 기준액 × 소득금액 별 조정계수 × 60%) + (가족구성원수 기준액 × 40%)
앞의 지급보험금과 가액의 관계를 잘 정리하였다면, 청구 손해액을 명확히 하고, 보험사와의 원만한 소통만이 남았습니다.
가재도구 손해액 청구에서 분쟁이 많은 부분
가재도구의 손해에 대하여 보험금을 청구할 때 대부분의 분쟁은 육안으로 손해가 명확히 보이지 않는 그을음/오손 또는 수침 피해에 대한 전손 여부입니다. 그리고 개인 사정에 의해 매입시기나 금액 확인이 어려운 경우 감가상각 공제액에 대한 분쟁정도가 있죠.
이 밖에 감정적인 부분, 추억이 담긴 사진, 미술품 및 골동품, 그리고 귀중품 등에 발생한 손해도 있지만 이는 약관상 증권에 기재하지 않는 이상 부담보 목적물로 보상이 어렵습니다.
손해액 입증방법
우선 손해여부에 대한 입증 방법은 건물 손해액 청구하는 방법과 같이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계약자나 피보험자 입장에서 가장 간단하고 확실한 전문업체를 통해 기술소견서를 받는 방법입니다.
가전제품 브랜드의 출장 A/S를 통해 담당자가 직접 점검 후 이에 대한 간단한 소견을 받고 명함을 첨부하는 정도만으로도 손해정도에 대한 입증은 충분할 것입니다.
그러나 의류 등에 발생한 그을음/오손, 수침, 냄새흡착 손해 등은 제조사나 세탁업체로부터 소견을 받기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이때는 보험사 담당자와 협의하여 몇 가지 샘플의 전문 세척 후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한편, 선물을 받았거나 매입한지 오래된 가재도구, 중고 거래를 통한 가재도구는 최초 매입시기 및 매입가 입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매입가는 포털사이트 검색을 통해 현재 동종,동형의 제품가격으로 청구하면 되지만, 매입시기는 제품에 제조년월 등의 라벨도 없다면 입증하기 정말 난해한데요, 이럴 경우 재조달가액의 20%만을 잔존가액으로 인정받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보험사 담당자에게 중고구입 집기비품 평가방법과 같이 신품재조달가액의 30%~50% 범위내에서 보험가액을 산정하는 것으로 협의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사실 공식적으로 전해드릴 수 있는 정보 이외에도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화재사고로 보험금을 청구하셔야 된다면,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